지도가 교재를!
김용선, 김보라
목 차
Ⅰ. 서론 ………………………………………………………………………2
1.1 연구의 필요성 ………………………………………………………… 2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의 내용 …………………………………………………………… 3
1.4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4
2.1 영어 듣기의 개념……………………………………………………… 4
2.2영어 듣기 학습의 과정…………………………………………………5
2.2.1 상향식 처리과정………………………………………………… 5
2.2.2 하향식 처리과정………………………………………………… 5
2.2.3 상호작용적 처리과정…………………………………………… 5
2.3 듣기 과업의 유형……………………………………………………… 6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8
3.1 분석 대상 ……………………………………………………………… 8
3.1.1 분석 대상 선정 이유 ………………………………………… 8
3.2 분석 사이트 개요 …………………………………………………… 9
3.2.1데일리잉글리쉬 개요 ……………………………………………9
3.2.2 해커스토플(영어학습) 개요 ………………………………… 12
3.3 평가도구 ……………………………………………………………… 12
3.4 분석결과 ……………………………………………………………… 13
3.4.1 사이트의 목적적 측면 ………………………………………… 14
3.4.2 학습 내용 및 형태 측면 ……………………………………… 15
3.4.3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특성 측면………………………… 24
3.4.4 듣기 과업 유형 분석 결과 …………………………………… 26
Ⅳ. 결론 및 제언 ………………………………………………………… 27
V. 부록 …………………………………………………………………… 30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영어교육의 최근 경향
1980년대 이후 의사소통 중심 언어교수법이 대두된 이후, 영어교육의 최근 경향은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문법적으로 타당하며 실제 현상에서 이루어지며 사회적 맥락에서 적당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의사소통 능력은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사용되는 언어형태만으로는 전달되는 내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관련되어 있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문법 규칙이나 용법 등을 단순히 암기하거나 학습하는 데서 벗어나 언어의 본래 목적인 주어진 실제 상황에서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언어 및 언어 그 외의 여러 가지 능력을 사용하여 사용 하여 상황에 적절한 영어로 상대방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첫째,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초점을 두고 언어의 용법(usage)보다는 언어 사용(use)에 중점을 두어 의미 있는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필요와 지적 발달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학생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습활동이 실생활과 연결되도록 하거나 학습자 상호간의 실질적 의사소통 활동이 가능하도록 실제상황과 관련된 이해 가능한 인력자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외국어로서의 영어학습을 한국적인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1.2 연구의 목적
제 2외국어 학습 순서상 읽기나 말하기 등의 다른 어떤 분야보다 듣기가 가장 선행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듣기 부분은 한국과 같은 EFL상황 속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며 쉽게 학습되지 않는 부분이다. 아무리 문법적인 능력과 독해 능력이 뛰어날지라도 외국인을 직접 만나서는 말 한마디 제대로 못하는 것이 EFL상황에서의 학습자들의 특징이며 이것이 우리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그래서 최근 듣기 중심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교재나 웹사이트 들이 성황을 이루고 있다. 내용의 양이 한정 되어 있는 책을 양적이나 질적인 면으로 넘어서서 유익하고 다양한 정보를 한번에 받을 수 있는 인터넷은 더 이상 특정 학습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교재 이상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 내고 있다. 우리는 이런 흐름, 즉 인터넷을 교재로 이용하는 흐름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듣기학습 사이트 2개를 분석하여 우리가 처한 EFL상황에서의 적절한 듣기 학습법을 알아보고 이 사이트들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함께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런 연구를 통해 비롯되는 제한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교육 사이트의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3 연구의 내용
국내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평가를 위한 도구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실제 사이트를 2개를 선정하여 분석과 평가를 하면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세부적인 내용을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온라인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의 실태를 살펴본다.
둘째, 인터넷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를 분석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선정한다.
셋째, 국내의 대표적인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2개를 선정하여 선정한 평가 도구로 평가한다.
1.4 연구의 제한점
첫째, 본 연구에 활용된 2개의 사이트 분석 및 평가가 국내의 온라인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의 동향과 실태를 파악한다고 말하기에는 다분히 국소적인 성향을 지닌다.
둘째,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 및 평가 도구의 선정 그 자체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도의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Ⅱ. 이론적 배경
2.1 영어 듣기의 개념
듣기는 이해 기능으로 모든 언어기능의 기초적인 기능이면서 감각의 경험을 인지로 처리하는 능동적인 활동이다. 즉, 듣기는 청자가 화자의 말을 듣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듣기 목적과 기대 그리고 배경지식에 따라서 언어적, 비언어적 지식을 동원함으로써 의미를 구성하고 해석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Anderson & Lynch, 1998).
듣기는 입력과 출력의 속도를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유일한 언어기능이다. 그러므로 청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각능력, 인지능력, 배경지식, 언어지식 등의 복잡하고 종학접인 능력을 다 동원해야 듣기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말 전체를 이해하려면 발음, 어휘, 문법, 억양, 강세 등에 관한 언어적인 지식도 필요하지만 문화적, 상황적 지식이나 대화전략에 관한 비언어적 지식도 필요하다.
2.2 영어듣기 학습의 과정
2.2.1 상향식 처리과정(Bottom-up Process)
상향식 처리과정은 들려오는 소리에서부터 시작해 전체의미를 파악해 나가는 과정이다. 즉 의미의 파악을 위해 개별 단어의 의미, 억양 등 여러 요소의 기초지식을 이용하여 해독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는 음소, 리듬, 강세, 억양 등 음운록적인 규칙들을 먼저 인식한 뒤 낱말, 구, 어순 등 통사적 규칙을 인식하고, 그 다음으로 낱말의 의미, 연결사, 문화, 숙어 등의 의미론적 규칙을 인식하게 된다.
2.2.2 하향식 처리과정(Top-down Process)
하향식 과정은 학습할 언어 정보의 내용과 유사한, 머리 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내용을 해석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전 지식에 의해 처리되어 이미 알고 있는 언어적 맥락과 상황, 주제, 분위기, 참가자의 맥락 등을 근거로 하여 언어자료를 재구성한 다음 추론하고 예측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은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 상황의 사전지식, 문맥 등을 이용하여 이해하는 과정, 즉 언어를 모른다 할지라도 선험적 지식(scheme)을 이용하여 무엇이 말해지고 있고, 무엇이 나올 것인가를 예측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2.3. 상호작용적 처리과정(Interactive Process)
학습자가 발화된 자료를 들을 때 그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서 들을 말에 대한 예상, 들을 내용에 대한 친숙도의 정도, 배경지식 등을 이용하는 과정과 소리, 어휘, 어구들을 통해 이용하는 과정과 소리, 어휘, 어구들을 통해 들은 내용을 이해해 보려는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는데, 이것이 상호작용적 처리과정이다. 즉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이 상보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인 것이다. Rivers(1981)는 상호작용적 처리과정에 근거하여 듣기 이해 과정을 다음 [표1]과 같은 네 단계로 나누었다.
[표 1] 상호작용적 처리과정에 근거한 듣기 이해 과정(Rivers, 1981)
단계 내 용
1 왜 듣고 있으며 무엇을 듣고 싶은가 하는 듣기에 대한 이유를 간파하는 단계
2 예상한 정보가 얼마나 발화에 포함되어 있는지 익히 알고 있는 것과 비교해 보는 모니터 단계
3 듣기의 목적에 관련된 내용을 취사 선택하는 단계
4 질문이나 대답 등으로 내용의 이해 정도를 점검하는 단계
2.3 듣기 과업의 유형
무수히 많은 종류의 듣기 과업의 유형이 있을 수 있으며,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이를 정의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는 Ur(1984)의 듣기 활동 유형을 분석 도구의 하나로 선정하였다. Ur(1984)은 듣기 과업의 유형을 지각청취(listening for perception)와 이해청취(listening for comprehension)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표 2] 참조)
[표 2] Ur(1984)의 듣기 활동 유형
구분 단계 듣기 활동
지각 청취 단어수준 -반복하기
-같거나 다름을 식별하기
-모국어와 영어의 소리를 식별하기
-일치하는 단어 식별하기
-일치하는 단어 쓰기
문장수준 -반복하기
-어군 식별하기
-강세, 비강세 식별하기
-억양 식별하기
-받아쓰기
이해 청취 반응 없이 듣기 -들으면서 교재 따라 읽기
-친근한 교재 내용 듣기
-시각 자료를 보며 듣기
-교사의 비 격식적인 말 듣기
-오락을 위한 듣기
듣고 간단한 반응 하기 -신체 반응을 하거나 조작하기
-항목에 체크/동그라미 표시하기
-True/False 식별하기
-실수, 모순 찾기
-정의를 추측하기
-특정 정보 노트하기
-그림을 식별하거나 배열/변경/표시하기
-배치도, 도표, 가계도, 그래프, 지도에 표시하거나 채워넣기
듣고 긴
반응하기 -반복과 받아쓰기
-다른 말로 바꾸기
-번역하기
-질문에 응답하기
-이해를 묻는 질문에 답하기
-예측하기
-빈칸 채우기
-요약하기
연구 및 토론을 위한 듣기 -문제 해결하기
-해석적 청취하기
-Jigsaw 청취하기
-비평과 문제 분석하기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3.1 분석 대상
듣기를 공부하는 성인 학습자들이 이용하는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2개
A: 데일리잉글리쉬 (www.dailyenglish.com)
B: 해커스영어학습 (www.gohackers.com)
(알파벳 순으로 A, B를 정함)
3.1.1 분석 대상 선정 이유
인터넷 신문 inews 24 (2001) 조사에 의하면, 국내의 연령별 영어 학습 비율이 10대 이하 18%, 20대 35%, 30대 31%, 40대 14%, 50대 이상 2%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 결과로부터 국내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10대인 청소년보다 20대 30대인 성인 학습자의 비율이 약 15% 이상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0대 청년들의 취업을 위한 영어 학습, 이직을 위한 영어 학습의 열기 등의 사회적 환경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학습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20대, 30대의 성인 학습자를 분석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이용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사이트 선정에 있어서는 국내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들을 선정을 해 보았다. 오마이 뉴스 (2005)의 오성환 기자에 의하면, 온라인 순위 사이트인 랭키 닷컴에 따라 온라인 영어교육 사이트의 순위는 데일리잉글리쉬 (http://www.dailyenglish.com), 해커스토플 (http://www.gohackers.com), 마이퀵파인드 (http://www.myquickfind.com)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한 적이 있었다. 또한, 네이버(www.naver.com), 엠파스(www.empas.com) , 랭키닷컴 (www.rankey.com)의 검색 창에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라고 칠 경우 랭킹 5위 안에 분석 대상으로 정해진 데일리잉글리쉬 (http://www.dailyenglish.com), 해커스토플 (http://www.gohackers.com)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20대, 30대의 성인 학습자들이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위의 두 개의 사이트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3.2 분석 사이트 개요
3.2.1.데일리 잉글리쉬 (www.dailyenglish.com) 개요
2000년에 문을 연 데일리 잉글리쉬는 주식회사 덴 커뮤니케이션의 온라인 영어 듣기 말하기 학습 사이트로서 2006년 3월 15일 유료화로 바뀌었다. 데일리잉글리쉬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매일 혹은 이틀에 한번 정도 업데이트가 되고 있으며 듣기와 말하기에 집중된 다양한 소재들을 중심으로 한 활동들에 참여할 수 있다. 데일리 잉글리쉬는 크게 DE today, 영문법, LCMania, Premium AP, 쏙쏙청취, T.O.English, 영어회화라는 총 7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그 중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은 DE today로 이는 하루하루 공부할 작은 분량을 함께 제시해 주고 있는데 총 AP Radio News, PBS News Summary, Daily English Ez-News, Claire의 Dear Diary, Claire의 Dear Abby, Daily English Quiz, DE Quiz Contest, Daily Commercial, An idiom a day, Ever Wonder, Curiosity Saved the Cat, A Sentence A Day, Claire의 영영한마디 라는 총 13개의 작은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13개의 부분은 매일 혹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일주일에 2~3번 업데이트 된다. AP Radio News에서는 AP뉴스를 제공하며 빈칸 가로 넣기와 전체 지문 그리고 해설까지 함께 제공된다. PBS News Summary는 미국의 공영방송 PBS가 제공하는 그날그날의 주요 뉴스 요약으로서 AP와 내용은 유사하지만 전달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기 때문에 뉴스청취를 위한 입문 역할로 제격이다. Daily English Ez-News에서는 뉴스도 듣고, 문제도 풀고, 표현까지 챙기며 처음부터 끝까지 원어민 선생님이 직접 부담 없는 속도로 진행한다. 원어민 선생님이 기사는 물론 문제도 읽어주고 정답까지 설명해준다. Claire의 Dear Diary는 Claire가 매일매일 읽어 주는 영어일기 코너로서 Claire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재미와 더불어, 우리 생활과 밀착된 생생한 표현들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Claire의 Dear Abby에서는 국내외 영자신문에서 연재되고 있는 Dear Abby 칼럼 가운데 일부를 선정해서 Claire가 찬찬히 읽어 주고 그날의 중요 표현까지 짚어보는 코너로서 미국의 문화와 생활상을 조망하고, slang expression까지도 섭렵할 수 있는 공간이다. Daily English Quiz는 사실인지 거짓인지 등을 구별하는 간단한 문제를 듣고 푸는 퀴즈로서 매일 매일 퀴즈를 푸는 사이에 영어 실력이 향상 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DE Quiz Contest 매일 5문제씩 업데이트하는 Daily English Quiz를 Contest용으로 무작위 25문제 추출한다. 주 1회씩 추가하는 Quiz Contest에 참가해서 청취능력을 다른 회원들과 비교하고 검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명예의 전당에 점수가 높은 사람은 이름과 아이디와 함께 점수가 올라간다. Daily Commercial에서는 TV광고를 통해 살아있는 영어를 배우는 코너이다. 광고 스크립트와 함께 해석, 그리고 외국광고여서 한국인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문화적 배경이나 그 광고하는 상품이나 회사설명을 추가해준 부분이 광고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An idiom a day 하루에 하나의 idiom으로 학습자가 영어표현력을 높이도록 돕는다. 원어민 선생님의 설명과 함께 예문이 제시된다. Ever Wonder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궁금했던 기본적인 상식들을 알기 쉽게 풀어준다. 생생한 느낌의 사운드와 흥미로운 나레이션을 제공한다. 토네이도의 원인이나 왜 사람이 열이 나는지 등등 흥미로운 일상 상식을 늘릴 수 있는 유익한 공간이다. Curiosity Saved the Cat에서는 과학 뉴스들을 통해 상식과 영어실력을 함께 키우는 코너로서 과학상식과 더불어, TOEIC을 비롯한 각종 시험의 listening comprehension drill에 최적의 자료를 제공해준다. A Sentence A Day 코너제목 그대로 하루에 한 문장씩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한글과 영어 반복을 해주며 또한 말하기를 반복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2020문장 전체 파일을 한번에 다운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Claire의 영영한마디 에서는 영화, 드라마, 시트콤 등 각종 동영상의 장면과 대사를 capture하여 Claire가 자세한 설명을 곁들이는 audio-video 학습 코너이다. 재미있는 동영상과 깔끔한 해설을 제공한다. 이렇게 13개의 부분이 “DE today”에 포함되는 부분으로서 TODAY라는 제목에 어울리게 업그레이드가 잘 이루어지고 있고 학습자들의 참여도가 높다.
DE today 외에도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영문법, LCMania, Premium AP, 쏙쏙청취, T.O.English, 영어회화가 있다. 이 각 메뉴는 따로 유료화되어 있고 프로그램이 달라서 각각의 메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3.2.2 해커스토플-영어학습 (www.gohackers.com) 개요
해커스토플 사이트는 본래 해커스어학원(Hackers Academia)의 본격적인 출시 이후로 부속되어 생성된 영어학습 사이트이다. Hackers Program을 기반으로 한 이 사이트는 1998년 7월 영어학 전공자인 David Cho 선생님이 공식과 원리 TOEFL인 Hackers Program을 만들면서 탄생하였다. 이 사이트는 TOEFL을 비롯하여 TOEIC이라는 컨텐츠를 유▪무료로 제공하고 이 가운데는 청취 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한 컨텐츠 해커스토플 영어학습(www.gohackers.com/eng) 사이트가 있다.
해커스토플 사이트는 크게 9가지 항목 (TOEFL, GRE/전문시험, 유학준비, 유학생활, 해외취업, 어학연수, 해커스어울림터, 해커스영어학습, 해커스books) 으로 나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TOEFL 시험 전반에 관한 고 득점 향상 방안 및 학습 비법을 공유하며 궁금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장을 마련하고, GRE/전문시험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적절한 교재 정보를 제공, 유학 비자 준비부터 발급까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실질적으로 유학생들이 생활하면서 일기를 작성할 수 있게 하고 또 토론 및 의견을 나눌 수 있는 community장을 활성화 시키고 있으며, 취업정보, 해커스에 링크된 유용한 영어학습 사이트를 제공, 영어 듣기 학습에 유용한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해커스 영어학습 사이트는 AP News 받아쓰기, 해커스 VJ영어, Sex & the City, 해커스 영어회화, 광고로 배우는 영어, Dear Abby 라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하루에 평균 10,000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국내의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중 단연 인기 사이트로 인정받고 있다. 디지털 타임스 2006-08-04 에 따르면 온라인 영어교육 1위 사이트로 `해커스 사이트'가 선정된 적도 있었다. 이는 곧 그만큼 이 사이트의 이용률이 인터넷 영어교육시장에서 매우 높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3.3 평가 도구
[부록1] 참조
3.4 분석 결과
데일리 잉글리쉬 (www.dailyenglish.com)사이트를 A라고 정하고 해커스영어학습 (www.gohackers.com) B라고 정해서 평가표를 작성한다. 문항에 대한 응답을 하는 평가 준거값은 매우 부족하면 0점, 부족한 경우 1점, 보통일 때 2점, 우수한 경우 3점, 그리고 매우 우수한 경우 4점으로 정한다. 따라서 한 문항당 4점 만점이다. 그리고 사이트의 목적적 측면, 학습 내용 및 형태적 측면, 그리고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측면인 3가지 큰 범위의 평가기준을 가지고 평가된다. 총 29개의 질문 116점 만점에 각각 사이트가 총 평점 73점, 83점으로 평가되었다.
3.4.1 사이트의 목적적 측면
상위
기준 하위
기준 세부평가항목 A B
사이트의
목적 언어
기능 - 영어 청취 비중이 높은가? 4 4
교육
기능 - 뚜렷한 교육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가?
-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있는가? 1
4 3
3
종 합 9 10
[표 3]
목적적 측면에서는 이 두 사이트들이 언어기능, 교육기능이라는 하위기준에 의해 어떻게 부합하고 있는지 각각 평가했다. 먼저 언어 기능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영어 청취의 비중이 높은가에 대한 항목에 있어서는 각각 4점으로 동점으로 평가하였다. 그 이유로는 A사이트의 경우 컨텐츠 내용 자체가 쏙쏙 AFKN과 쏙쏙 청취를 비롯하여 미국의 공영방송 PBS가 제공하는 그날그날 주요 뉴스와 영화, 드라마, 시트콤 등 각종 다양한 청취 장르를 동영상과 mp3파일로 제공하고 있는 등 90% 이상이 영어 청취 비중에 중점 되었기에 그렇다. B사이트의 경우에 있어서도 AP뉴스 받아쓰기, Dear Abby, Sex and City, 광고로 배우는 영어, 동영상 강의 등과 같이 학습자에게 청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청취 분야인 컨텐츠를 동영상과 음성 파일로 제공하고 있기에 위와 같은 평가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교육 기능 측면을 살펴보자. 뚜렷한 교육 목표 설정 하위 항목에서 A는 2점, B는 3점으로 평가되었다. A 사이트의 경우에는 교육적인 기능의 비영리적 성향보다는 본 사이트에서 제시하듯 “인터넷에 이런 사이트도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만들어진 사이트라고 명명하며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적 성향이 뚜렷이 보여 1점이라고 평가되었다. 특히 사이트의 목적이 “친구집에 들르듯 마음 편히 들러서, ‘영어’라는 매개를 통해 기분 좋은 만남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영어 청취와 학습을 돕는 목적이 있기는 하지만 다소 뚜렷한 교육 목표를 설정을 했는가에 대해서는 한계점이 비추어지고 있다. 반면 B사이트의 경우는 모든 컨텐츠가 무료인 반면 상대적으로 뚜렷한 “영어 청취 학습에 향상”이라는 교육적 목표를 내걸고 있어 3점으로 평가하였다. 학습자의 동기 유발 하위 항목에 있어서는 두 사이트 모두 각각 4점과 3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측정되었지만 A 사이트의 경우 DE today 가 있어서 하루에 할 공부의 분량이 그날그날 업데이트가 되어 한 페이지에 명확히 제시되므로 학습자로 그 날의 학습 분량을 하게 하도록 도와 학습의 자극제,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즉 학습 동기를 이끌어 내는 경향이 더욱 강하기에 4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이 밖에도 쏙쏙 청취, 술술 소화되는 영문법 등 소제목 자체에서도 학습자로 하여금 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공부를 해야겠구나 하는 마음 가짐을 하도록 유인하는 경향이 있다. B사이트 같은 경우에도 무료 메일로 매일매일 학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 강의 내용 바로 밑에 학습자들의 불필요한 로그인 없이 바로 댓글을 달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사이트에 참여하므로 영어 학습을 진전시키도록 유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사이트는 사이트의 목적적인 측면에서 12점 만점에 9점과 10점으로 평가되었다.
3.4.2 학습 내용 및 형태 측면
(학습 내용 및 형태 측면의 평가표가 길어서 두 개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음)
상위
기준 하위
기준 세부평가항목 A B
학습 내용
및
형태 자료의
업데이트 - 자료가 신속하게 업데이트 되는가?
(매일 한다/주2회/주1회) 3 4
자료의
구성 - 자료의 구성 내용이 다양한가?
(뉴스/드라마/영화/음악/회화) 3 2
듣기형태 - 학습자 수준에 맞게 수준별로 나누어졌는가?
- 전문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졌는가? 3
1 1
1
강의형태 - 오디오 뿐만 아니라 비디오형태로도 진행이 되는가?
(멀티미디어 자료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여부)
- 청취에 필요한 학습자료 외에 별도의 해설강의가 있는가?
- 해설강의가 있다면 텍스트/음성/영상으로 강의를 하는가? 4
2
1 4
2
1
학습방법 - 발음법에 대한 고려가 있는가?
- 피드백은 잘되어 있는가?
- 청취력 향상을 위해 청취요령 코너가 있는가?
- 정기적으로 청취력 테스트를 하고 있는가?
- 청취자료를 다운받아 학습할 수 있는가? 0
1
3
0
4
0
3
1
0
4
종 합 25 23
[표4]
학습 내용 및 형태의 측면에서는 크게 자료의 업데이트, 자료의 구성, 듣기형태, 강의형태, 학습방법 5가지의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으며 총 48점 만점에 A사이트는 25점 B사이트는 23점을 받았다.
먼저, 자료의 업데이트 면에서는 A 사이트와 B 사이트 모두 3점과 4점으로 매일매일 신속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B 사이트가 주말에 관계없이 365일 업데이트 되는 반면 A 사이트는 주말을 제외한 평일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자료의 구성면에 있어서는 각각 사이트 3점과 2점으로 평가되었다. 두 사이트 모두 AP News, 광고, 소설, 회화, 드라마 등의 여러 가지 장르를 공통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다만 A 사이트가 학습자의 입장에서 볼 때 뉴스의 선택의 폭이 AP News 와 더불어 PBS News, DE daily EZ-News을 제공하므로 B사이트 보다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An idiom a day와 today’s expression, A sentence a day 과 같은 자료 구성으로 다양한 장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정리 학습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두 영어 듣기 교육 사이트가 전반적인 장르 형태인 드라마, 광고, 영화, 뉴스 라는 공통적이고 다소 정형적인 자료 구성 틀을 깨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이 있다면, A사이트의 Commercial 코너에서 광고의 선정이 다소 선정적이였는데 이것은 아무리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는 있겠지만 교육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는 다소 문제점이 있다고 분석된다.
듣기 형태에 있어서는 다시 학습자 수준에 맞는 수준별 학습 형태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전문가와 상호 작용이 가능하게 만들어 졌는지 이렇게 2가지로 세분화해서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 수준에 맞는 수준별 학습 형태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A 사이트는 초급 및 중급 컨텐츠와 중급 및 고급 컨텐츠로 분류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소 항목별 프로그램마다 난이도 초급, 중급, 고급의 연속 막대 그래프를 표시해줌으로써 난이도에 맞는 청취가 가능하도록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점들로 보았을 때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 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어 3점을 주었다. 하지만 초급과 중급, 그리고 고급의 정확한 분류가 되지 않고 두리뭉실하게 수준을 구획했다는 점에서 다소 한계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A 사이트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듣기 형태별 제공이 아닌 일방적이며 일괄적인 듣기 제공 수준에 미치지 못해 1점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전문가의 상호 작용 면에서는 두 사이트 모두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어서 각각 1점을 주었다. 두 사이트 모두 듣기를 하면서 전문가 즉 교사로부터의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형태가 아니였다. 다만 A 사이트의 경우 DE의 참여광장이라는 community공간이 있기는 하지만 학습자의 질문에 답에 제공되지 않는 항목들도 20개 중의 1개 꼴로 발견되었고, 메일로 여러 가지 청취 수강신청 문의 사항에 대해 접속해 보았지만 연락이 되지 않아 답답해 하는 3개 이상의 글을 발견되는 등 전문가와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학습에 관한 질문, 수강신청에 대한 질문과 하드웨어 및 윈도우 멀티미디어 듣기 프로그램에 관한 질문사항을 각각 질문할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없고 단지 혼합되어 질문할 수 있는 공간만이 있어서 다소 불편함이 많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B 사이트 역시 특별히 듣기를 하면서 전문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 것은 없었다. 다만 강의 밑에 댓글을 달아 학습자들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만이 개설되어 있어 극히 제한적인 상호작용이 그 안에서 이루지고 있었다.
강의 형태 면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충분한 사용 여부와 별도 해설 강의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사이트 모두 각 사이트가 개발한 속도 조절과 속도 조절 기능을 갖춘 오디오 형태와 비디오 형태를 제공하면서 듣기 강의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4점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청취 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 이외의 별도의 해설강의 영역에 있어서는 둘 다 2점 평가되었다. 그 근거로는 A, B 두 사이트 모두 소제목 7개의 항목 중에서 4개의 항목에서 별도의 해설 강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3개의 소제목 항목에서는 음성 파일과 원본과 단어만을 제시하고 나머지 학습 진도는 학습자의 몫으로 남기고 있었다.
해설강의에 관한 분석에서는 두 사이트 모두 1점을 받았다. 해설이 충분하지 않다. 두 사이트의 차이점은 A가 약 30~40 분으로 이루어지는 해설 강의 중심이 많은 반면에 B 사이트는 평균 5분 이내의 해설 강의가 주로 이루어 진다는 점이였다.
학습 방법 면에 있어서는 발음법, 피드백 제공, 청취요령 코너, 정기적인 청취력 테스트 여부, 청취 자료의 다운 여부 이렇게 5가지의 하위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발음법에 대한 고려는 두 사이트 모두 아주 열악한 상태였다. 오직 음성 파일과 비디오 파일 형태로 듣기 자료를 제공할 뿐, 발음법에 대한 소제목 항목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www.avenglish,co.kr 과 같은 청취 사이트에서 발음 강의를 모음과 자음, 억양과 강세와 리듬에 따라 체계적으로 하는 것과 비교해 본다면 상당히 발음법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피드백 제공에 있어서도 두 사이트 모두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B 사이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TOEFL, GRE전문시험, 유학생활, 어학연수 등 여러 청취 외의 community와 Q&A의 장이 열려있지만 정작 청취 영어 학습 코너에는 피드백 제공의 공간이 메일을 쓰는 것을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아서 0점으로 평가하였다. A 사이트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DE 참여 광장에 한글게시판, English Board, 컨텐츠 Q & A 등에서 여러 학습 및 사이트 관련 질문과 답변들이 오고 가지만 실질적인 학습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은 드물게 분석되었다. 달마다 평균 8~10개 정도의 학습자들의 질문이 오가고 5~6줄의 짧은 답글로 답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상당히 부족한 피드백 실정으로 여겨져서 1점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청취 향상을 위한 청취요령 코너에 있어서는 각각 4점과 1점으로 평가되었다. A 사이트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이용가이드 코너에 초급 및 중급, 중급 및 고급에 대한 청취 컨테츠에 대한 상세 설명이 이루어져있고, 어떠한 코너가 어느 수준의 난이도를 가지고 어떠한 강의 내용을 기반하고 있는지 자세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각 소제목 항목마다 무료샘플을 제공함에 따라 학습자가 강의를 접하고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친절한 가이드가 제공된다는 점으로 분석되어서 4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부가하였다. 반면 B 사이트의 경우에는 sitemap에서 총괄적인 청취 코너에 대한 간략한 설명만을 제공할 뿐 부과적인 어떠한 요령과 방법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어 1점으로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정기적인 청취력 테스트의 항목에 있어서는 두 사이트 청취 강의 중심이지 어떠한 별도의 테스트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어 매우 부족한 상태인 0점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B 사이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AP News 받아쓰기 자체가 테스트 형태가 되어 있고 학습자가 직접 받아 적은 내용을 제출하면 바로 즉각적인 답이 빨간 줄로 자신이 답에 오답처리나 정답처리 됨으로써 답을 받아 볼 수가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A 사이트에 비해 테스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청취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는 것에 대한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두 사이트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왜냐하면 두 사이트 모두 웹 사이트에서 각 소제목별로 음성 파일로 들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하드디스크 저장은 물론 MP3로도 다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인 결과 학습 내용 및 형태 면에서 48점 만점에 각각 25점 20점으로 평가되었다.
상위
기준 하위
기준 세부평가항목 A B
학습
내용
및
형태 듣기
방법 -시각자료 제시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어휘제시 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활용연습제시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청취한 내용과 일치하는 글이나 그림 선택방법이 있는가?
-받아쓰기나 빈칸 채우기가 되어 있는가?
-반복 청취가 쉽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가?
-들은 내용에 나온 언어 표현들을 정리해 놓았는가?
-언어 외적 문화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이 있는가? 4
3
3
4
3
4
2
4 4
4
2
2
3
4
4
3
종 합 27 26
[표5]
다음으로는 학습 내용 및 형태 측면 가운데 두 사이트의 듣기 방법에 관한 분석을 해보았다. 항목은총 8개로 32점 만점에 A사이트는 27점, B 사이트는 26점으로 비슷한 점수를 받았다. 두 개 사이트의 분석결과를 하나씩 살펴보겠다.
시각 자료 제시방법에 관한 분석에서는 두 사이트 모두 만점인 4점을 받았다. 두 사이트 모두 시트콤이나 광고 같은 시각적인 사진이나 동영상을 적절하게 제공 함으로서 재미와 흥미를 유도하고 있다. A 사이트 에서는 시트콤 Friends를 주로 제공해서 재미있는 회화나 생활표현을 익히게 하고 B 사이트 에서는 인기드라마인 Sex and city를 제공해서 실제 생활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다음으로 어휘제시 면을 살펴보자면, A 사이트는 3점, B 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두 사이트 모두 어휘제시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A 사이트에서는 AP뉴스 부분에서 어휘제시를 해주지 않고 있다. 빈칸 채우기와 본문의 해석만을 제공할 뿐 어휘를 제시해 주지 않아서 학습자로 하여금 약간의 혼동을 이끌 수 있다. 반면 B 사이트에서는 어휘제시를 꼼꼼하게 해주고 있고 이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배우는 내용을 정리하고 더욱 동기를 유발해서 어려운 학습내용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고 있다.
다음은 활용 연습 면을 살펴보자. 이 항목에서 A 사이트는 3점, B사이트는 2점을 받았다. A 사이트는 숙제를 제출하는 칸이 마련되어 있고 학습자들이 배운 내용을 스스로 확인해 볼 수 있는 퀴즈나 다양한 콘테스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료를 그냥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활용하고 연습해서 스스로 학습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A 사이트에 비해서 B사이트는 상대적으로는 그런 공간이 부족하지만 무료 사이트인 만큼 많은 이용객들이 있고 서로 적절하게 피드백을 해줌으로써 배운 내용을 다양하게 활용 연습 할 수 있다.
청취한 내용과 그림 선택의 일치성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A 사이트가 B사이트보다 우수했으며 A 사이트는 4점, B 사이트는 2점을 받았다. 동영상이 아닌 그림만 보았을 때 A 사이트에서는 적절하고 다양한 그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A 사이트에서도 특히 일반상식에 대해서 듣기로 설명해주는 Ever Wonder코너에서는 포도에 관한 글에서는 포도그림, 폭풍우에 대해서는 폭풍우 그림 등을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혹시 학습자가 제목에 나와있는 핵심단어를 알지 못하더라도 그림을 통해서 추측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반면 B 사이트에서는 특정 동영상 외에 영어듣기만 나오는 부분에서 적절한 그림을 제공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AP뉴스 부분에서는 어울리는 사진을 싣고 있긴 하지만 그 외에 사진이 들어간 부분이 거의 없고 시각적인 그림이나 사진 자료가 없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내용을 추측해 보는 것을 힘들게 한다. 그리고 같은 AP뉴스 부분을 비교해 볼 때 A 사이트는 한 뉴스당 5~6개의 관련된 사진을 제공하는가 하면 B 사이트는 단지 한 개의 사진을 제공한다.
받아쓰기와 빈칸 채우기 부분에서는 두 사이트 모두 적절하게 빈칸 채우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 사이트가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둘 다 2점을 주었다. 우선 A 사이트는 빈칸에 들어 가야 할 단어 개수에 꼭 맞는 수의 빈칸이 비워져 있다. 그래서 두 칸이 비워져 있는 곳에는 단어 두 개, 세 칸이 비워진 곳에는 단어 세 개를 넣으면 된다. 그러나 B 사이트는 빈칸에 들어갈 단어 수와는 상관없이 빈칸은 항상 한 칸 이다. 빈칸에 들어갈 단어가 몇 개인지 학습자가 알기가 어렵고 특히 영어처럼 연음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언어에서는 고급수준의 학습자가 아닌 이상에야 빈칸을 채워 넣기가 굉장히 어렵다. 특히 이런 AP뉴스처럼 속도가 빠른 듣기에서는 더욱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러나 A사이트의 단점은 빈칸에 학습자가 정답을 적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눈에만 보이는 빈칸이므로 학습자는 필기도구를 준비해두고 정답을 따로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B사이트는 빈칸 가로에 학습자가 직접 정답을 적을 수 있도록 되어있고 정답을 다 적은 후에는 밑에 있는 “제출하기”를 누르면 답이 제출되며 정답과 해설이 나온다. 두 사이트 모두 빈칸 넣기에 있어서 장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반복 청취 면에서는 두 사이트 모두 반복청취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잘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두 4점을 받았다.
들은 내용에 나온 언어표현에 관한 항목에서 A사이트는 2점,B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A 사이트에서는 AP뉴스 부분에서 특별히 언어표현을 정리 해주지 않고 있다. 반면 B 사이트에서는 어휘뿐만 아니라 표현들을 꼼꼼하게 제시 해주고 있고 이는 학습자들이 어려운 학습내용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고 있다.
43언어 외적인 문화에 대해서는 두 개의 사이트 모두 제시해주고 있으나 A사이트는 4점, B사이트는 3점을 받았다. 그러나 A 사이트가 상대적으로 양이 많고 다양한 문화적 설명을 추가하고 있다. 문화적인 설명은 영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영어를 제2외국어로 학습하는 사람들에게 마음속의 장벽을 없애고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4.3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특성 측면
[표6]
상위
기준 하위
기준 세부평가항목 A B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특성 구성
및
디자인 -사이트의 구성이 명확하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가?
(시각적 구성/사이트 맵/도움말)
-학습자가 쉽게 원하는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가?
-유사한 타 사이트로의 링크는 잘 되어 있는가?
-업데이트된 내용을 표시해 줄 수 있는가? 1
1
1
1
4
4
4
4
기술적
요소 -사이트가 자주 다운받지 않고 안정적인가?
-자료를 제공하기에 속도는 충분히 빠른가? 4
4 4
4
종 합 12 24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특성에 대해서 두 사이트를 분석해 보았다. 총 6항목으로 24점 만점으로 A사이트는 12점, B사이트는 24점을 받았다.
우선 사이트의 구성이 명확하고 한눈에 알아보기 쉬운지에 대한 항목에서 A사이트는 1점 B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두 사이트 모두 다양하고 많은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A사이트는 그 메뉴를 소개하는 부분에서 강사의 사진이나 움직이는 그림을 함께 제공해서 내용이 조잡해 보이고 무질서 해 보인다. 그리고 어느 부분이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경계가 애매하고 알아보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반면 B사이트는 깔끔하게 글씨에 색깔만을 다르게 해서 메뉴판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한눈에 보기가 편하고 어디에 뭐가 있는지 알아보기가 쉽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하는지에 관한 문항에서도 결과적으로 A사이트는 낮은 점수인 1점 B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A사이트는 보기에 복잡하고 깔끔하지 않아서 학습자가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게시판의 용도가 뚜렷이 구분 되어 있지 않아서 학습관련 질문과 사이트 시스템 자체 관련 질문이 여러 게시판에 혼동되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래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그리고 그 정보에 답을 해 줄 수 있는 장소를 찾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반면 B사이트는 보기에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게시판도 확실히 구분되어 있어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얻기가 용이하다.
유사한 타 사이트로의 링크에 대한 면에서 A사이트는 1점, B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A사이트는 유사한 타 사이트로의 링크가 용이하지 못한 반면 B사이트는 관련 사이트들을 함께 위치시키고 쉽게 링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된 내용을 표시해 주는지에 대한 항목에서는 A사이트는 1점, B사이트는 4점을 받았다. A사이트는 업데이트를 얼마 만에 한번씩 한다고 언급은 되어 있고 날짜는 표시되어 있지만 그것을 알아보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B는 업데이트된 내용에는 빨간색으로 “new”라고 쓰여진 글씨가 번쩍거리며 신호를 주고 있어서 업데이트된 내용을 바로 알아볼 수가 있다.
그리고 사이트가 자주 다운받지 않고 안정적인가 하는 항목에서는 두 사이트 안정되며 다운되지 않았으므로 두 사이트 다 4점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속도에 대해서도 두 사이트 모두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 빠르게 진행되어서 모두 4점을 빋았다.그러나 굳이 한가지 문제점을 들자면, A사이트는 각 프로그램들에서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이 다른 것들이라서 매 프로그램을 실행 할 때마다 새 플레이어를 다운 받아서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B사이트는 특별히 그런 구분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3.4. 듣기 과업 유형 분석 결과
Ur(1984)의 듣기 과업 유형과 언어 처리 과정의 이론에 비추어 각각 사이트를 분석해보았다.
[ 표 7]
사이트 소제목 듣기 활동 Ur의
듣기 과업 유형 언어
처리
과정
A DE Today 뉴스 원음 듣기 이해 청취(반응 없이 듣기) 상향식
듣고 빈칸
채우기 이해 청취(듣고 간단한 반응하기) 상향식
주요 어휘 중심으로 문장 단위 듣기 지각 청취(문장 수준) 상향식
LC mania 문장벼로 듣고 빈칸 채우기 이해 청취(듣고 간단한 반응하기) 상향식
Premium AP 문장별로 듣기 지각 청취(문장 수준) 상향식
쏙쏙 청취 뉴스 원음 듣기 이해 청취(반응 없이 듣기) 상향식
키워드
듣고 따라하기 지각청취(단어 수준) 상향식
T.O English 뉴스 원음듣기 이해 청취(반응 없이 듣기)
주요 어휘 중심으로 문장 단위 듣기 지각 청취(문장 수준) 상향식
키워드 듣고 따라하기 지각 청취(단어 수준) 상향식
B AP뉴스 받아쓰기 듣고 빈칸
채우기 이해 청취(듣고 간단한 반응하기) 상향식
해커스VJ 영어 듣고 따라하기 이해 청취(듣고 간단한 반응하기) 상향식
Sex & the City 시트콤 원음 듣기 이해 청취(반응 없이 듣기) 상향식
광고로
배우는 영어 광고 원음 듣기 이해 청취(반응 없이 듣기) 상향식
의미 단위로 들으면서 의미파악하기 지각 청취(문장 수준) 상향식
Dear Abby 우리말 보며 듣기 지각 청취(문장 수준) 상향식
Ⅳ.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 본 연구는 몇 가지 평가 기준에 의해서 선정된 평가 도구에 의해서 성인 학습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국내 인기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 여기서 전체적으로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 째, 하루 평균 10,000명 이상의 방문자를 가지고 있는 인기 웹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내용면, 기술적인 면, 구성 및 형태 면에서 두 사이트 모두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우선, 내용면에 있어서는 아무리 성인학습자 중심이고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는 의도는 보이지만 내용이 다소 선정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들을 상당수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기술적인 면 중, 디자인 면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학습적인 면과 편의보다는 유명 강사를 선전하는 광고와 같은 상업적인 면을 강조하고자 분산된 구성 형태를 띄고 있었다. 또한, 웹 기반 영어 듣기 학습에서 가장 필수적인 음성 파일을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그램이 통일화, 획일화 되어 있지 않아서 학습자가 학습에 있어서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고 예상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구성 면에서는 시트콤, 뉴스, 영화, 광고, 소설 등 학습 장르는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듣기 학습 사이트만의 꼭 정형화된 특정 프로그램만을 사용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듣기 사이트는 다양하고 많은 시트콤이 있음에도 거의 대부분 프렌즈를 학습 자료로 사용하고, 많은 뉴스가 있음에도 AP뉴스를 주 학습 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좀 더 다양하고 폭 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해야 하는 일이 교육자들의 나머지 숙제이다.
둘 째, 두 사이트 모두 영어 교육 전문가의 전문성으로 설계되었기 보다는 영어 프로그램 계발자의 안목에 의해서만 설계되었다. 특히, 학습자가 학습 후 피드백 면에 있어서 학습자들끼리의 상호 피드백만이 주가 될 뿐, 영어 전문가의 정확하고 확실한 조언 및 피드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였다. 학습을 하고자 방문한 웹 사이트에서 생긴 궁금증이 바로 웹 상에서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의 연장선까지 가서 학습의 미해결점을 풀고자 하는 학습자의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성인 학습자 같은 경우는 따로 학원을 다니거나 외국인 친구가 없는 이상 그러한 학습의 궁금증을 해결할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웹 사이트는 다양하고 좋은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자들의 궁금증 및 어려움을 해결해 줄 영어 교육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서 영어교육 전문가란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고 업데이트 해주는 영어를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 사이트에 올라있는 내용에 대해서 생기는 학습자의 궁금증을 바로 바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전문가의 부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IGSE와 같은 영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순히 영어 지도와 영어 교재를 개별적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 교재와 영어 지도의 절충적인 안목을 지닌 전문가의 도움이 많이 필요로 할 것이다.
셋 째, 두 사이트 모두 양적이나 질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는 하나 학습자들은 어느 프로그램이 자신의 수준에 맞고 자신에게 필요한지를 알 지 못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일괄식 영어 듣기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여 어려운 것을 듣고 좌절하거나 너무 쉬운 학습 자료에 안주하여 학습의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 얼마나 많은 양의 자료를 제공하냐 보다는 하나를 제공하더라도 학습자 개개인이 원하고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정확히 체크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해서 학습자의 수준을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맞는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정 및 추천을 하여 맞춤식 영어 듣기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상으로 국내의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 2개를 선정하여 분석 및 평가를 하였다. 아직까지는 국내의 영어 듣기 학습 사이트들이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만 좀 더 보안을 한다면 내용적, 기술적, 구성적인 면에 있어서 모범이 되는 웹 사이트 개발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본 연구가 앞으로의 국내 영어 듣기 교육 사이트의 올바른 방향의 지침서가 될 수 있는 밑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록] 영어 듣기 교육 웹사이트 평가 기준표 [이나영(2003)]
평가 준거값
매우 부족: 0, 부족: 1, 보통: 2, 우수: 3, 매우 우수: 4
[표 8] 영어 듣기 교육 웹사이트 평가 기준
상위
기준 하위
기준 세부평가항목
사이트의 목적 언어
기능 -영어 청취 비중이 높은가?
교육
기능 -뚜렷한 교육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가?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있는가?
학습
내용
및
형태 자료의
업데이트 -자료가 신속하게 업데이트 되는가?
(매일한다/주2회/주1회)
자료의
구성 -자료의 구성 내용이 다양한가?
(뉴스/드라마/영화/음악/회화)
듣기
형태 -학습자 수준에 맞게 수준별로 나누어졌는가?
-전문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졌는가?
강의
형태 -오디오 뿐만 아니라 비디오형태로도 진행이 되는가?
(멀티미디어 자료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여부)
-청취에 필요한 학습자료 외에 별도의 해설강의가 있는가?
-해설강의가 있다면 텍스트/음성/영상으로 강의를 하는가?
학습
방법 -발음법에 대한 고려가 있는가?
-피드백은 잘되어 있는가?
-청취력 향상을 위해 청취요령 코너가 있는가?
-정기적으로 청취력 테스트를 하고 있는가?
-청취자료를 다운받아 학습할 수 있는가?
듣기
방법 -시각자료 제시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어휘제시 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활용연습제시방법이 들어가 있는가?
-청취한 내용과 일치하는 글이나 그림 선택방법이 있는가?
-받아쓰기나 빈칸 채우기가 되어 있는가?
-반복 청취가 쉽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가?
-들은 내용에 나온 언어 표현들을 정리해 놓았는가?
-언어 외적 문화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이 있는가?
사이트의 구성
및
기술적 특성 구성
및
디자인 -사이트의 구성이 명확하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가?
(시각적 구성/사이트 맵/도움말)
-학습자가 쉽게 원하는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가?
-유사한 타 사이트로의 링크는 잘 되어 있는가?
-업데이트된 내용을 표시해 줄 수 있는가?
기술적
요소 -사이트가 자주 다운받지 않고 안정적인가?
-자료를 제공하기에 속도는 충분히 빠른가?
참고 문헌
김정렬. (2001). Click 웹 기반 영어 교육. 서울: 한국문화사.
신은정. (2005). 영어 뉴스 듣기 교재를 활용한 듣기 웹 사이트 설계. 영어학 석사 학위논문.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서울.
오성환. (2005). 온라인 교육 서비스, 황금알 낳을까?. 네이버-오마이뉴스: http://news.naver.com/news/read 에서 2006년 12월 18일에 검색했음.
정영국. (2003). 영어 교재론 연구 1. 서울: 한국문화사.
최수영. (2003). 멀티미디어 기반 영어 교육. 서울: 한국문화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